잔치국수는 갖은 야채를 넣어 끓인 육수에 면을 곁들여 먹는 한그릇요리로 야채의 식감이 어우러져 풍부한 식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냉동실비우기 열심히 하고 있는 요즘~! 지난번에 요리하고 남은 어묵과 유부가 있어서 꺼내 어묵국수 만드는 법으로 점심메뉴 해결했는데 덕분에 푸짐하게 먹을 수 있었답니다.
간단한 잔치국수 만들기 하기 좋은 메뉴로 담백하니 맛있어서 아이들과 식사하기 좋은 한그릇요리랍니다.
어묵국수 만드는 법 제목처럼 오늘은 소면 삶는법부터 육수내는 팁까지 자세히 소개해 드리도록 할 테니 제가 소개해 드리는 팁 잘 기억하셨다가 맛있게 만들어 보시길 바랍니다~
재료준비(2~3인분)
소면
멸치다시마육수 1.5L
유부
어묵 2장
대파 1대
다진마늘 1/2숟가락
애호박
당근
국간장 1숟가락
멸치액젓 1숟가락
쯔유 1숟가락
부족한 간은 소금
면 삶을 때 : 굵은소금 1/2숟가락
숟가락 / 계량컵(200ml) 혹은 종이컵 계량
유부와 어묵은 살짝 굵게 채썬 후 뜨거운 물에 한 번 헹궈 기름기를 제거해 줍니다.
애호박, 당근은 가늘게 채썰고, 대파 1대는 쏭쏭 썰어주고, 다진마늘 1/2숟가락 준비해 줍니다.
진하게 끓인 멸치다시마육수 1.5L를 끓여 육수가 끓으면 애호박, 당근, 대파, 다진마늘을 넣어 한소끔 끓여줍니다.
전 이번에 코인육수가 있어서 코인육수를 활용했습니다~
야채가 반쯤 익었을 때 유부와 어묵을 넣어 한소끔 끓여줍니다.
국간장 1숟가락, 멸치액젓 1숟가락, 쯔유 1숟가락, 간을 봐서 부족한 간은 소금으로 해 주는데
삶은 면을 곁들이면 싱거워지기 때문에 간을 평소보다 간간하게 해 주셔야 해요~
냄비에 넉넉한 물을 끓여 물이 끓으면 굵은소금 1숟가락 넣어주고 1인분 기준 500원 동전 크기로 소면을 넣어 삶아주는데
면이 끓어 넘치려고 할 때 물 1컵을 두 번에 나눠 넣어 끓여주면 면이 찰지고 맛있습니다.
면이 익으면 면을 채망에 담아 흐르는 물에 면을 바락바락 문질러 가면서 씻어주어 전분기를 제거하고 최대한 물기를 탁탁 털어 물기를 제거해 줍니다.
그릇에 면을 담고 야채육수를 담아주는데 육수는 넉넉하게 담아줘야 더 맛있습니다~
냉장고파먹기로 준비해 보았는데 간단한 잔치국수 레시피로 끓이기 좋았답니다.
날씨가 싸늘해지니 따뜻한 국물요리가 더 생각이 나더라고요~
한그릇요리로 끓여 드실 분은 제가 소개해 드린 팁 잘 기억하셨다가 맛있게 끓여보시길 바랍니다~